10000% 실매물

2012년 현대 제네시스 BH 380 로얄 VIP팩

할부될카 2023. 2. 3. 00:30
SERVICE스마트블록, 검색을 넘어
탐색으로의 여정너와 나의 검색 결과는 왜 다를까?February 2, 2023

핫플레이스, 경기 결과, 아이 운동화, 하객룩까지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검색한다. 원하는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어느새 더 확장된 정보를 찾아 재검색하는 경험. 누구나 있을 것이다. 구체적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검색’에서 결과를 보고 나니 본인이 필요한지도 몰랐던 (하지만 원하게 된) 결과를 찾아가는 ‘탐색’의 여정을 보내게 된 것이다.
최근, 네이버는 사용자들의 이런 검색과 탐색의 여정을 네이버답게 풀어나가고 있다.
그 시작은 인공지능과 검색이 결합한 AiRSEARCH와 검색 결과를 개인 맞춤화한 스마트블록이다.
네이버이기에 가능한 서비스와 네이버다운 생각으로 시작된 새로운 검색의 패러다임을 만나보자.

▲ 김재엽 Search Creative X

01. 스마트블록의 시작은 ‘검색 사용자’

AI를 이용해 사용자의 의도를 얼마나 파악할 수 있을까?
검색어에 ‘캠핑 용품 구매’ 같이 명확한 목적이 담겨 있다면 좀 수월할 수 있겠지만, ‘캠핑’처럼 의도가 명확하지 않은 검색어는 꽤 어려운 일이다. 사용자가 어떤 목적으로 검색했는지, 어떤 결과를 원하는지 예측하기 어려울뿐더러, 사용자도 검색 결과를 보고 나서야 원하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어렵다고 포기할 수는 없는 법. 우리는 사용자의 검색 성향을 알기 위해 사용자의 검색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했다. 총 278명의 20~40대(여성 71%, 남성 29%)의 사용자들이 참여했고, 모더레이터와 대화하며 검색어 입력 의도에서부터 만족하는 결과를 얻기까지의 여정을 분석했다.

02. 정답형검색을 넘어 탐색형검색으로

다양한 인사이트가 도출되었다. 그중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검색의 흐름이었다. 정답형에서 시작하여 자연스럽게 탐색형으로 확장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용산가족공원’에 대해 검색한다고 가정해 보자. 사용자들은 처음엔 ‘용산가족공원’의 휴무일, 이용 시간, 가까운 지하철 등 정답형의 정보를 파악한다. 하지만 검색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공원의 주변 가볼 만한 곳을 탐색하며 검색의 범위를 확장해간다. ‘트립 어드바이져’로 이탈해 주변 관광 명소를 보다가 다시 돌아와 ‘용산가족공원 맛집’, ‘용산가족공원 카페’라는 키워드로 주변 핫플레이스와 맛집 등 재검색을 한다. 그저 ‘용산가족공원’ 자체의 정보를 넘어 ‘용산가족공원에 나들이를 가고 싶다’라는 목적으로 다양하게 검색한 것이다.

 
03. 스마트블록의 탄생

이러한 사용자들의 검색 패턴을 통해 우리는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었다.
‘검색 결과 내에 의도별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 구성 및 장치가 필요하다’ 는 것!
‘용산가족공원’과 함께 방문하면 좋은 관광명소, 맛집, 카페 등 핫플레이스들의 모듈화된 콘텐츠를 의도별로 나누어 제공한다. 정답형에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탐색 경험까지 더욱 풍성하고 세심한 검색 결과를 소비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렇게 스마트블록은 시작되었다.

04. 스마트블록은 개인 맞춤형

스마트블록의 콘텐츠들은 여러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된다. 이때 AI는 사용자의 취향과 소비 이력을 반영해 개인 맞춤형 스마트블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있는 사용자가 ‘용산가족공원’을 검색하기 이전에 ‘아이와 갈 수 있는 캠핑장’이나 ‘7살 아이 운동화 추천’이란 검색을 하고 해당 구매 이력의 데이터가 있다면 스마트블록은 달라진다. ‘함께 갈만한 맛집’이라는 블록이 ‘아이와 함께 가면 좋은 레스토랑’으로 개인화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05. 스마트블록의 끝도 ‘검색 사용자’

스마트블록의 목표는 단순히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들을 잘 찾아 주는 1차원적 결과 제공에 그치지 않는 것이다. 사용자의 의도를 세분화하고 다양한 탐색을 도와주며 사용자들이 취향에 맞는 개인화된 검색 결과로 검색 목표를 달성하도록 만들어준다. 사용자가 의도한 것보다 더 확장된 검색 결과까지도 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현재까지 스마트블록은 전체 검색 결과 중 약 20% 정도의 트래픽에 적용되어 있다. 이전 대비 사용자가 10-20% 이상 더 많은 콘텐츠를 탐색 및 소비하고 있다. 앞으로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UGC)를 비롯해 쇼핑, 로컬, 지식베이스까지 전반적인 검색 결과로 확대할 예정이다.
스마트블록을 통해 검색 사용자에게 이전보다 나은 ‘검색과 탐색의 여정’을 경험을 제공하는 것, 우리는 이것을 향해 나아간다.

PREVIOUS공유하기NEXT